2025년 육아휴직제도 알아보시는 분들 많으실텐데요. 2024년보다 급여가 대폭 인상되거나 급여 인정 기간이 확대되는 등의 변화가 있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✅ 육아휴직급여 인상
: 2025년부터 육아휴직급여가 대폭 인상됩니다
- 1~3개월: 월 250만원
- 4~6개월: 월 200만원
- 7개월 이후: 월 160만원
이는 현행 월 150만원에서 최대 100만원 인상된 금액입니다. 1년 동안 휴직할 경우 최대 2,310만원을 받을 수 있어 510만원이 늘어납니다.
✅ 육아휴직 제도 개선 사항
❤️배우자 출산휴가 확대
배우자 출산휴가 급여 인정 기간이 5일에서 20일로 확대됩니다.
❤️사후지급금 폐지
육아휴직급여의 25%를 복직 후 6개월 이상 근무 시 지급하던 사후지급금이 폐지되어, 휴직 기간 내 급여 전액을 받을 수 있습니다.
❤️단기 육아휴직 신설
연 1회 2주간의 단기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
❤️기업 지원 강화 - 대체인력지원금 인상
육아휴직 대체인력 채용 시 지원금이 월 80만원에서 120만원으로 인상됩니다
❤️기업 지원 강화 - 업무분담 지원금 신설
육아휴직자의 업무를 대신하는 동료에게 사업주가 보상하면, 사업주에게 월 20만원의 '육아휴직 업무분담 지원금'이 지급됩니다
이러한 변화들은 일·가정 양립을 지원하고 저출생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의 일환입니다. 육아휴직 사용을 장려하고 맞벌이 가정의 돌봄 공백을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.
✅ 2024 vs 2025 육아휴직제도 차이점은 ?
2024년과 2025년 육아휴직제도 사이에는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
💙육아휴직급여 인상
2024년
- 6+6 부모육아휴직제 도입: 첫 6개월간 통상임금의 100% 지급 (월 상한액 200만원~400만원)
- 7개월 이후: 통상임금의 80% (월 상한액 150만원)
2025년
- 1~3개월: 월 250만원
- 4~6개월: 월 200만원
- 7개월 이후: 월 160만원
🞹 2025년에는 급여 상한액이 대폭 인상되어, 1년 휴직 시 최대 2,310만원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.
💙배우자 출산휴가 확대
2025년에는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 인정 기간이 5일에서 20일로 확대됩니다.
💙단기 육아휴직 신설
2024년에는 해당 사항이 없었지만 2025년에는 연 1회 2주간의 단기 육아휴직을 도입합니다.
💙기업 지원 강화
2025년에는
- 대체인력지원금 인상: 월 80만원에서 120만원으로 증가
- 육아휴직 업무분담 지원금 신설: 월 20만원
💙사후지급금 폐지
2025년에는 육아휴직급여의 25%를 복직 후 6개월 이상 근무 시 지급하던 사후지급금을 폐지합니다.
✅ 2025 육아휴직제도 신청 방법, 자격 요건
▶ 자격 요건
- 생후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를 둔 근로자
- 출산 전 180일 동안 고용보험에 가입된 이력이 있어야 함
-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 신청 가능하며, 한 자녀당 각각 최대 1년까지 사용 가능
▶신청 방법
1. 회사에 최소 30일 전에 서면으로 육아휴직 신청
2. 필요 서류 준비:
- 고용보험 가입증명서
- 출생증명서 또는 가족관계증명서
- 근로계약서 또는 재직증명서
- 육아휴직 급여 신청서
- 육아휴직 확인서(회사 발행)
▶신청 방법 선택
- 온라인: 사업주가 확인서 접수 후 신청인이 급여신청서 접수
- 센터방문/우편: 확인서 및 급여신청서를 고용센터에 접수
▶신청 기간
육아휴직 시작일 이후 1개월부터 종료일 이후 12개월 이내
✅주의사항
- 회사는 정당한 이유 없이 육아휴직 신청을 거부할 수 없음
- 육아휴직 개시일 기준으로 자격 요건 충족 여부 판단
- 육아휴직 분할 사용은 2회까지 가능
🞹 자세한 사항은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(1350)로 문의할 수 있습니다
2025 육아휴직 제도의 변경된 사항을 알아봤는데요. 육아휴직자 공백으로 업무 부담이 늘어난 동료에게 추가적으로 보상을 하는 업무분담 지원금이 새롭네요. 아직도 육아휴직에 대한 부정적인 분위기가 많은데 동 료 직원 눈치를 보지 않고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. 이 밖에도 아이돌봄 서비스, 주거지원 등에도 예산이 확대되었다는데요. 저출산이 심각한 시점에 많은 도움이 되는 정책이 되었으면 합니다.
'알아두면좋은정보 > 정부정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연말정산 환급금 조회 (13) | 2024.09.30 |
---|---|
경기도 청소년 교통비 지원사업 신청방법 지급일 확인 (23) | 2024.09.28 |
반려동물 보유세? 어떻게 생각하시나요? (24) | 2024.09.23 |
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 방법, 개혁안 내용 (15) | 2024.09.14 |
주민등록증 디자인 변경된다, 어떻게 바뀔까? (15) | 2024.09.13 |